교과목 안내
HUM106문(文): 삶과 꿈(Life and Dream)
- 본 수업에서는 인간과 사회를 잘 표현한 동서양의 고전작품, 즉, 우리나라의 고전 1편, 동양의 고전 1편, 서양의 고 전 2편을 이들이 생산된 사회 배경을 참고하며 통독함으로써 인간, 사회, 언어, 예술이 무엇인지 탐구할 것이다.
HUM107사(史): 시대와 정신(Age and Spirit)
- 본 과목은 동서양의 역사(학) 고전을 탐독하고 질문하며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훈련을 통해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검토하고 역사 또는 역사학의 의미와 시대 인식의 중요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수강생들은 특정 시대와 그 정신을 성찰하는 기회를 가지면서 세계 역사의 다양한 색채를 맛보며 과거,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시대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게 될 것이다.
HUM201융(融): 융합과 사유(Convergence and Thought)
- 언어가 있어 인간은 다른 존재들과 구별될 정도로 언어는 인간에게 본질적인 것이다. 또 언어와 사고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인간 사유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도 언어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인간과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길은 언어를 연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 언어와 관련된 여러 고전들을 읽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HUM104한문강독(Reading in Classical Chinese Writing)
- 한문으로 된 자료강독을 통해 한문문법에 대한 지식을 익힌다. 이와 함께 한자문화권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익히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학 및 동양학의 도구 언어인 한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HUM101불어강독(Reading in French)
- 인문대학 학생들이 전공학습과정 가운데 접하게 되는 프랑스어와 프랑스의 문학, 사상, 역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한 과목이다. 우선 초급수준의 프랑스 어를 익히고, 프랑스 전반에 대한 기초적 소양을 갖춘다.
HUM103중국어강독(Reading in Chinese)
- 현대 중국어의 고급 문형을 강독함으로써 독해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중국의 지리,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룬 문장을 중심으로 중국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아울러 여러 문형의 용법상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독해 능력을 한층 높인다.
HUM105일본어강독(Reading in Japanese)
- 이 과정에서는 인문학에서 필요한 일본어 강독을 훈련한다. 먼저 독해를 위한 문법을 복습하고, 다음으로 인문학 문헌을 윤독한다. 마지막으로 인문학 관련 일본어 책의 요약, 혹은 논문의 요약을 훈련한다.
CAJ01110아주희망 전공진로탐색(Ajou Dream)
- 단과대학과 각 전공별로 자율적으로 운영하되, 대학과 전공(학과)에 대한 소개와 함께 자기성찰을 통한 인생설계(꿈찾기) 및 진로설정을 위한 로드맵 작성을 그 내용으로 포함한다.
HIS112한국사 입문(Introduction to Korean History)
- 한국사 연구의 있어서 기본적인 문제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배움으로써 한국사 연구의 기초를 확립함과 동시에 올바른 연구의 방향을 정립한다.
HIS114서양사 입문(Introduction to European History)
- 그리스·로마세계의 발전과 문화적 업적을 살펴보고 기독교와 봉건제를 특징으로 하는 중세사회의 변천을 검토하며 서양 근대 세계의 흐름을 파악한다.
HIS117역사학으로의 초대(Invitation to Historical Studies)
- 역사와 역사학의 의미를 묻고 과거의 실체에 접근하는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며 다양한 관련 쟁점들을 검토함으로써 역사학 연구자뿐 아니라 교양 시민에게 필요한 사료(문서 자료와 각종 '데이터'포함)이해와 비판적 분석 능력, 시대의 흐름에 대한 종합적인 통찰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HIS113아시아사 입문(Introduction to Asian History)
- 문화, 역사인식, 인구변화, 가족제도, 사상, 국제관계 등을 검토하면서 아시아사 이해를 위한 기본 개념과 정보를 습득한다.
HIS115역사와 인물(Great Men in History)
-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을 통해 당대 상황을 분석, 검토해봄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서 역사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안목을 키운다.
CCMP202영어데이터분석기초(Analysis of English Data)
- 본 강좌는 실증적인 영어자료 분석의 기본 원리와 방법론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주요 영어 코퍼스의 활용방범과 코퍼스 분석 도구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학습하고자 한다. 영어 코퍼스의 분석과 학술적 혹은 실용적 목적의 활용을 경험하여 결과물을 도출하고자 한다.
CCMP105데이터 분석기초(Basic Data Analysis)
- 대표적인 오피스용 데이터 처리 도구인 EXCEL과 통계처리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을 활용하여 기초적인 데이터 처리 및 통계 처리 프로그래밍 역량을 배양한다. 통계 관련 지식보다는 도구 사용 능력을 배양하는데 초점을 둔다. 프로그래밍 관련 지식이 전무한 비전공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를 갖는 것도 이 과목의 주요 목표이다. 본 과목을 통해 배양되는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 역량 및 이해를 바탕으로 추후 전공 분야에서의 심도 있고 유의미한 데이터 분석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HIS2213조선시대사(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 각 시대에 새로이 등장하는 계층을 중심으로 그 정치와 사상을 기저에서 진행되는 사회변동과 관련지어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HIS229한국고중세사(Korean History from Antiquity to Medieval Times)
- 한국 고대사에서 중세사까지의 역사발전 과정과 성격을 장기적인 시각에서 조망하고 중대한 변화의 인과관게를 파악하면서, 현재 한국 역사와 문화의 시원을 찾아서 '또 다른 전통'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HIS234동양고중세사(Asian History from Antiquity to Medieval Times)
- 시대전환의 역사적 특징을 진시황의 군현제를 통하여 이해하고 통일정권의 의미를 다각적으로 파악하며 올바르게 이해하는 시각을 기른다.
HIS244서양고중세사(Western History from Antiquity to Medieval Times)
- 고대 지중해 세계의 변동으로부터 중세의 성숙기에 이르는 긴 시기를 조망하고 중대한 변화의 계기들을 짚어내면서 유럽 사회가 15세기 초 이래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팽창하기 전에 어떤 정치적·문화적 전통을 쌓고 인접 문화권과 갈등과 교류의 관계를 이루었는지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자 한다.
HIS245서양근대사(European Modern History)
- 근대 유럽의 탄생은 르네상스, 종교개혁, '지리상의 발견'에서 비롯된다. 근대 유럽의 탄생에서 19세기 중반까지의 과정을 살펴좀으로써 서양 시민사회의 성립배경을 그 특징적 요소를 이해한다.
HIS267영상매체와 역사(History in Modern Cinema)
- 새로운 미디어 문법 속에 반영된 아시아 역사세계의 분석을 통하여 아시아 역사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HIS2610기록과 해석(Sources and Interpretation)
- 그리스와 로마의 신화를 비롯해 여러 지역의 신화들을 읽고 이해함으로서 현대의 문화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끌어내는 역량을 키우고자 한다.
HIS396박물관학개론(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useum)
- 현실적 답사의 정기적 시행이 어려워 이것을 박물관 교육으로 대체해야 한다.
- 박물관개론에 대한 이해는 학생들 추후에 큐레이터 등으로 진출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HIS291유럽의 전통과 문화유산(The European Heritage and Cultural Tradition)
- 유럽의 전통과 그 전통이 배어 있는 구체적인 문화유산은 현대 유럽의 토대이자 유럽인의 상상력의 보고이다. 유럽의 전통과 문화유산을 학습함으로써 유럽문명의 형성과정과 그 성격을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HIS282고고학개론(Introduction to Archaeology)
- 본 강의는 유적과 유물 분석을 통해 선사시대 인간들의 생활문화와 역사를 알기 위한 기초지식을 배양하는 데 있다.
- 고고학의 학문적 발전과정과 구체적인 방법론, 분석방법을 고찰하고 한국과 다른 지역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고고학의 성과와 문제점을 개관한다. 한국의 경우에는 석기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의 유적과 유물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서 한반도 선사시대의 형성과 발전과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HIS397역사융합세미나1(캡스톤디자인)(Seminar on History-Based Cross-Discipline1(Capstone Design))
- 역사융합세미나1은 사학과 교육의 종합적 성과를 도출하고 사학과 교육의 융합적 성격을 강화하기 위한 기본 과목이다. 학생들은 사학과 강의에서 습득한 이론 지식과 사료학습 역량을 기반으로, 역사학 혹은 연관 학문의 특정 주제에 관한 학술 연구나 기획/제작 작업을 수행한다. 그로써 학생들은 역사학의 활용성 및 타 전공과의 융합 가능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학생 개인의 진로(직업)를 모색하는 구체적인 기회를 갖게 된다.
HIS3910디지털역사학연구방법론(캡스톤디자인) Data Analytic Methodology with Digital History(Capstone Design)
- 본 강좌는 다양한 역사 자료의 특성을 파악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구조화하는 과정, 그리고 디지털기술을 활용해 분석하는 방법론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IS269유목민족의 역사와 문화(History and Culture for Nomadic Peoles)
- 유라시아 대륙에서는 수많은 유목 민족들(흉노·돌궐·소그드·거란·티베트·몽골·여진·만주족)의 등장, 발전, 정복, 소멸 등이 진행되었다. 이들 유목민족들의 역사와 문화를 고찰하여 아시아 지역에서 한족(漢族)과 주변 유목 민족 상호 간의 작용·반작용의 과정을 탐색하고, 유목민족과 중국과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여 농경세계와 유목세계의 특징을 이해한다.
ARE221중국근현대사(Chinese Modern History)
- 명대 이후 중국 정치의 변천, 사회경제의 동향, 학술의 개괄적 양상을 다른 시대와 비교하면서 동양 제곡의 정치, 경제, 문화적 관계를 사적으로 개관한다. 그리고 아편전쟁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약 1세기의 중국현대사에서 중국인이 낯선 문명인 서구 문명에 어떻게 도전하고 대응했는가에 초점을 둔다.
ARE231일본근현대사(Chinese Modern History)
- 근대로부터 현대까지의 일본인의 생활과 문화. 각종제도의 발생 및 변천을 개관하고 일본사 특유의 용어와 개념을 익힌다. 특히 시대별 특색을 고찰하는데 중점을 둔다.
HUM311/2/3/4인문인턴십 1/2/3/4(Humanities Internship 1/2/3/4)
- 회사, 박물관, 전시, 축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어, 문학, 문화 등 전공에서 배운 지식을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전공 관련 실무 능력과 경험을 높인다.
HIS325한국근현대사(Korean History from Early Modern to Contemporary Times)
- 한국사에서 19세기와 20세기는 오늘날 사회의 기반을 제공하였기에 매우 중요한 지점이다. 전통과 근대, 동양과 서양의 이분법적 사고를 뛰어넘어 근현대 한국 역사의 주요 전개 과정을 정치, 경제, 사회 등의 분야에서 추적하고, 이를 통해 19세기 이후 한국사으 주요한 흐름을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한국사 속 전통과 근대성의 의미를 고민해 본다.
HIS342서양현대사(European Contemporary History)
- 19세기 말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기의 서양 역사를 고찰함으로써 폭넓은 세계 이해를 도모하고 민주적이고 평화적인 시민의식을 함양한다.
HIS464역사 속의 기업(Corporations in History)
- 20세기 말 서양 역사학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킨 '문화로의 전환'에 주목하고 역사 연구의 대상이자 방법으로서 문화가 미친 영향력을 추적함으로써 21세기 전 지구적 문화 교류와 변용의 시대에 걸맞은 소양을 쌓고 여러 지역의 문화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문화란 특정 사회의 정치적·경제적 영역과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관계를 반영하고 사회경제적 변동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 따라서 예술 분야뿐 아니라 의식(義式)과 상징, 기억과 정체성을 비롯해 인간으 의식적인 활동이라는 넓은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한다.
HIS345아메리카사(History of the Americas)
- 현대 세계 질서의 중심축으로 부상한 미국의 국가건설과 이후 발전과 대외팽창 과정을 살펴보고 정치ㆍ외교, 사회, 경제, 문화 등 여러 측면에서 미국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또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과 후속 역사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대내외적인 주요 현안들의 역사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ARE333일본사상과 예술(Japanese Thought and Art)
- 고대로부터 근세에 이르는 동아안 일본인의 의식과 개인적, 사회적인 생활양식을 규정해 온 신화, 종교사상, 철학, 미학등의 내용과 그 역사적인 계보를 개관한다. 또 이 강의와 관련하여 인용되는 문헌과 참고자료의 독해와 주석을 통해서 인명, 지명을 고찰함과 동시에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와의 고나련을 사회과학의 제 방법으로 고찰한다.
HIS398역사융합세미나2(캡스톤디자인)(Seminar on History-Based Cross-Discipline2(Capstone Design))
- 역사융합세미나2는 사학과 교육의 종합적 성과를 도출하고 사학과 교육의 융합적 성격을 강화하기 위한 심화 과목이다. 이 과목은 역사융합세미나1의 성과를 기반으로 삼아, 주제와 방법론, 목표에서 더욱 고차적인 수준을 지향한다. 학생들은 사학과 강의에서 습득한 이론 지식과 사료학습 역량을 기반으로, 역사학 혹은 연관 학문의 특정 주제에 관한 심화된 학술 연구나 기획/제작 작업을 수행한다.
ARE323중국사상과예술(Chinese Thought and Art)
-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종교, 철학, 사회문제에 관련하여 중국에섭 라생한 제 관념을 개관하고 분석하여 중국사상에 관한 제 용어와 개념을 파악한다. 특히 유가, 불가, 도가의 사상과 중국 전통문화의 연관관계를 이해한다.
HUM4112산학협력전공실습1/2(캡스톤 디자인)(Industry-Academia Project1(Capstone Design))
-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산학협력 실습과목으로 학교와 기업의 공동지도 아래 주어진 과제를 수행한다. 현장실습을 통해 과제수행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실무능력을 키우고 산학협력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관련 산업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RE431일본세미나(Seminar on Japan)
- 지역연구에 관련된 접근방법들을 공부하고 이에 관한 특정 한 주제를 잡아 연구보고서를 발표함으로써 주제 분석 및 발표능력을 기른다.